저희 사는 곳의 다양한 정보

네팔에서 쓰는 달력

지니와 유니 2018. 4. 23. 12:50

네팔은 인도의 영향의 영향을 많이 받으니 인도에서 사용하는 달력을 사용할 것이라고 오해할 있으나, 인도는AD 78년부터 시작  shaka력을 사용하고 있다.  샤카력은 태양력으로 계산된다.

1957 3 22일에(샤카력1879 1 1) 인도에서 공식달력으로 지정되었다.

샤카력은 서기78년에  Shalivahan왕을 숭배한 것을 기원으로 한다는 설이 있다.

사캬족은Scythians인들로 페르시아인들에 의해서 불린 이름이다.

 여담으로 석가모니는 샤캬족으로 성자가 사람이라는 의미로, 샤캬는 종족명이다. 카필라 성의 왕자로 싯다르타 고타마(가족성)라는 이름을 가졌다. 인도에는 1 명의 샤카족이 있으며, 성은 5개가 있다고 한다. 네팔의 꾸마리도 샤캬족에서 선발한다고 한다.  (우리가 아는 부처와 관련된 샤카족이 맞는지는 역사적으로 완전히 확인하지 못했다.)

 

네팔은 크게 3가지의 달력을 사용한다.

우선 거떼와 따릭으로 말해지는 비끄럼력과 그레고리력이다.

1.       그레고리력은 영국의 영향을 받은 인도부터 사용하였으며,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달력이기에 네팔에서도 현재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태양력을 사용한다.

 

2.       비끄럼력이 있다.  이것은 양력과 음력을 혼용해서 사용한다.

 

BC 56년에 시작된 달력이다.  Ujjain 왕국의 Vikramaditya왕이 Shaka왕조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그것을 기념하면서 비끄럼력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기는 어렵고, 전설과 같이 전해져 온다.

힌두교에서는 중요한 달력으로 인정된다.

대부분의 힌두교종교축제가 달력에 의해서 결정되고, 인도북부, 인도동부 등에서 사용되며 스리랑카, 태국, 버마, 캄보디아 등의 인근 많은 지역의 새해도 동일하게 달력의 새해와 일치한다.

 

3.       그리고 음력으로 계산 되는 네팔 (네팔삼바뜨) 있다. 일년을 354일로 나누기에 3년에 1개월이 추가된다. 3년에 한번 1달이 추가 되기에, 그레고리력이나 비끄럼력에 표시되는 다양한 행사와 축제가 자주 변경된다. 전설에 의하면 달이 작아지는 보면서 부스러기로 3년마다 번씩 달이 생긴다고 한다. 달은 악마의 달로 여겨져서 네팔사람들은 조심하는 달이기도 하다.

 

비끄럼력뿐만 아니라, 많은 축제와 행사들이 네팔력에 의해서 결정된다. 음력에 의해서 결정되는 다양한 행사와 미신들이 달력에 의해서 결정된다.

네팔력은 제정한 왕의 이름이 아닌 국가명이 붙은 유일한(네팔사람들의 글에는 그렇게 표현한다) 달력이다.

리처비시대가 서기879년에 끝나는데, 때가 샤카력으로는 800년이 되는 해이다. 그래서 8 부정하게 여기는 네팔문화에서 샤카력을 폐지하고, 2 후에 네팔력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많은 학자들의 연구를 보면 리처비시대의 역사기록은 비끄럼력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또한 시대가 바뀌면서(터꾸리 왕조) 왕이 국민들의 부채를 모두 탕감해 주는데, 그것을 기념하여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달력은 말라시대까지 사용되었다.

서기 881년부터 사용되어서 샤왕조의 시작인 1769년까지 사용되었다. (888년간, 네팔에서는 8 부정적인 숫자로 여겨서 888년이 되는 해에 사용된 네팔력을 폐지했다는 주장이 있다.)

왕조는 대신 비끄럼 삼바뜨를 공식적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많은 축제들이 네팔삼바뜨에 의해서 결정이 되기에, 2007 네팔정부는 공식달력으로 함께 인정하고 있다.

 

네팔의 달력은, (아래는 여러 가지 자료를 검토한 개인적으로 내린 결론-혹시 정확한 정보를 아시면 저에게도 알려주세요.)

기본적으로 이전에는 shaka력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게 추론하는 이유는 끼라뜨왕조에는 끼라뜨종교와 함께 불교가 융성했기 때문이다.

후에 리처비시대에는 힌두교와 함께 비끄럼력이 들어와서 사용되었고, 민중에는 여전히 샤카력이 널리 사용된 것으로 추론된다.

후에 터꾸리 왕조와 말라왕조는 네팔력을 사용하였다.

샤왕조는 네팔력을 폐지하고, 비끄럼력을 공식적으로 사용한다.

샤왕조의 시대에는 영국과 관련되어 그레고리력도 함께 사용되었다.

이렇게 계속 사용되던 비끄럼력과 그레고리력에 민간에서는 네팔력을 계속 사용해 왔는데, 2007 공식적으로 네팔력도 공식달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정부에서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