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얀 포스트에서는 Safal Ram Shrestha and Mani Kala Rai 두 선수가 예선전을 통과하지 못해서 2018년도 평창동계올림픽에는 네팔선수단을 파견할 수 없게 되었다고 소식을 전했다.
이전 2006, 2010, 2014년에는 Dachhiri Sherpa(दाछिरी शेर्पा1969. 11. 03일생)라는 네팔인이 15km 크로스컨트리 부분에서 참여를 했다.
다르치 세르파
2014년 소치올림픽에서는 완주를 한 87명 중 86등으로 기록이 남아 있다.
55분 39.3초를 기록했고, 17분 09.6초 뒤진 기록이었다.
이 때 선수 1명 코치 1명 임원단 7명이 동계올림픽에 참여하였다.
2010년은 44분26.5초의 기록으로 10분 50.2초 뒤진 기록으로 92위를 했다.
2006년은 56분 47.1초로 94위를 했다.
2002년에는 Jay Khadka라는 네팔인이 두 종목에서 70위와 79위를 차지했다.
아래는 몇 일전 적은 내용이다.
네팔은 동계올림픽에 참여할 만큼의 동계인프라를 가지지 못한 나라이다.
그래도 혹시 하는 마음에 기사를 뒤지다가 찾은 내용을 실어본다.
아래는 신문기사 전문이다.
오는 29일부터 강원도 평창과 강릉 등에서 열리는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은 과거 어느 대회보다도 따뜻하고 인정 넘친 올림픽이 될 전망이다.
대회사상 처음으로 마련된 스페셜핸즈 프로그램에 따라 경제적, 지리적으로 소외됐던 국가들에게 우리 정부와 대회조직위원회가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
대회조직위원회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이번 스페셜올림픽이 사회적으로 소외된 지적장애인들의 건강과 재활을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는 만큼 여러 가지 이유로 지금까지 스페셜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했던 국가들에도 참가의 기회를 주어야한다는 취지에 따라 아시아․태평양지역 7개국을 특별 초청하기로 했다.
날씨가 더운 관계로 동계스포츠와 접할 기회가 없었거나 경제적으로 여유롭지못해 참가를 결정하기가 어려운 국가들에게 스페셜핸즈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우리가 비용을 부담해 초청하는 것이다.
초청국은 네팔과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파키스탄, 태국, 파푸아뉴기니 등 7개국.
나경원 조직위원장은 처음 시도되는 이들 국가의 초청을 위해 지난해 런던에서 열린 패럴림픽까지 가서 관계국의 올림픽 관계자들을 직접 찾아가 만나기도 했다.
이 결과 16일 현재 7개국 모두가 선수단을 보내오겠다고 통보해왔다. 우리의 특별히 따뜻한 손이 그 들을 움직인 것이다.
특히 이들은 정부의 고위 인사들을 선수단 임원으로 파견해 이들 국가에서도 머지않아 지적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아울러 한국에 대한 고마움과 관심도 커질 전망이다.
참가를 통보해 온 7개국 중 몽골은 외무부장관을 지내고 현재 환경녹색개발 장관이자 시민의지당 대표인 산자수렌 퀸씨와 현재 내각 자문관을 맡고있는 갈바드라크 아리움씨 고위급 인사를 파견하는 등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캄보디아와 네팔은 각각 청소년체육차관보를 이번 대회에 파견한다고 알려왔다.
이들 선수단은 오는 27일 방한해 대회에 앞서 진행되는 호스트타운 프로그램을 포함 대회가 끝나는 2월 6일까지 11일간 다른나라 선수단과 똑같은 일정을 소화하게된다.
[댓글열전] 세계적 축제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을 응원합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대회사상 처음으로 마련된 스페셜핸즈 프로그램에 따라 경제적, 지리적으로 소외됐던 국가들에게 우리 정부와 대회조직위원회가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
대회조직위원회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이번 스페셜올림픽이 사회적으로 소외된 지적장애인들의 건강과 재활을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는 만큼 여러 가지 이유로 지금까지 스페셜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했던 국가들에도 참가의 기회를 주어야한다는 취지에 따라 아시아․태평양지역 7개국을 특별 초청하기로 했다.
날씨가 더운 관계로 동계스포츠와 접할 기회가 없었거나 경제적으로 여유롭지못해 참가를 결정하기가 어려운 국가들에게 스페셜핸즈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우리가 비용을 부담해 초청하는 것이다.
초청국은 네팔과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파키스탄, 태국, 파푸아뉴기니 등 7개국.
나경원 조직위원장은 처음 시도되는 이들 국가의 초청을 위해 지난해 런던에서 열린 패럴림픽까지 가서 관계국의 올림픽 관계자들을 직접 찾아가 만나기도 했다.
이 결과 16일 현재 7개국 모두가 선수단을 보내오겠다고 통보해왔다. 우리의 특별히 따뜻한 손이 그 들을 움직인 것이다.
특히 이들은 정부의 고위 인사들을 선수단 임원으로 파견해 이들 국가에서도 머지않아 지적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아울러 한국에 대한 고마움과 관심도 커질 전망이다.
참가를 통보해 온 7개국 중 몽골은 외무부장관을 지내고 현재 환경녹색개발 장관이자 시민의지당 대표인 산자수렌 퀸씨와 현재 내각 자문관을 맡고있는 갈바드라크 아리움씨 고위급 인사를 파견하는 등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캄보디아와 네팔은 각각 청소년체육차관보를 이번 대회에 파견한다고 알려왔다.
이들 선수단은 오는 27일 방한해 대회에 앞서 진행되는 호스트타운 프로그램을 포함 대회가 끝나는 2월 6일까지 11일간 다른나라 선수단과 똑같은 일정을 소화하게된다.
[댓글열전] 세계적 축제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을 응원합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저희 사는 곳의 다양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교자의 날과 민주주의의 날 (0) | 2018.02.19 |
---|---|
다치리 데와 세르파라는 인물 (0) | 2018.02.12 |
네팔차와 커피에 대한 이야기 (0) | 2018.02.05 |
한인 페스티발 (0) | 2017.10.10 |
스키를 네팔에서??? (0) | 2017.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