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축제

왜 발에 머리를 대고 인사할까?

지니와 유니 2017. 5. 30. 20:44





힌두교와 불교의 사회에서 합장을 하면서 인사를 하는 것은 쉽게 만날 수 있는 인사법입니다.

하지만 사원에만 가면 사원의 신상이나 사원의 끝자락에 손을 대거나 이마를 대고 절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불교에서는 오체투지라고 해서 온 몸을 바닥에 대면서 절을 합니다.

이런 모습은 힌두교에서도 나타나는데 6가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인사를 하거나 절을 합니다.


그런데 정과 부정을 나누는 힌두교에서 낯선 풍경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부정하다고 할 수 있는 발에 손을 대거나 이마를 대고 절을 하는 겁니다.

평상시 늘 볼 수 있는 풍경은 아니지만 멀리  떠나는 자녀가 부모님에게, 또는 결혼식에, 또는 먼길 여행을 갔다 왔을 때, 제사장에게 이런 행위를 합니다.


위에 설명해 놓은 것처럼 이것은 존경의 표시이며, 복종의 의미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때 연장자나 제사장은 장수를 위해서 지혜롭게 되기를 위해서 복을 빌어줍니다.

길을 떠나는 자녀에게는 안전을 위해서 복을 빌어주겠지요.


힌두교에서는 몸을 관통하는 챠크라라는 곳이 있습니다.

그곳들을 수련하는 것이 요가이고, 명상입니다.

또한 사원에 절을 할 때도 이런 곳들을 신의 앞에서 바닥에 붙이고 절을 하는 겁니다.

'종교와 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친더르 나뜨  (0) 2019.05.10
छाउपडी 차우뻐디 전통에 대하여  (0) 2017.09.08
시바라뜨리(시바의 밤)축제  (0) 2016.03.25
홀리축제  (0) 2016.03.25
네팔의 종교.  (0) 2013.06.07